전선에는 기본적으로 단선인가 연선인가로 나뉠수 있습니다.
피복(고무)속에 구리 한가닥이 있는 것을 단선이라고 합니다. 연선에 비해서 굵고 빳빳한 편이며 보통 전력사용량이 많은 가정집 콘센트 등의 배선공사에 자주 사용하는 HIV 선이 대표적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피복(고무)속에 구리 가닥이 여러가닥으로 이루어 진 것을 연선이라고 합니다.
연선의 경우 전선자체가 실같이 가느다락 동선이 모여져있기 때문에 유연성이 좋아 작업하기가 편하고, 각종 연장 케이블, 농업용, 공업용으로 많이 사용합니다.
가장 기본으로 사용되는 전선이 HIV 전선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콘센트 스위치 등에 많이 사용되고, 색상이 다양하며 작업자 마다 색상의 기준을 두고 배선작업을 합니다.
-HIV : 내열성 가소제를 사용한 비닐 수지를 주체로 한 절연재로 피복한 전선. 최고 사용 온도가 75˚C 인 내열성을 갖는다.
-IV: 단선으로 각 가정 혹은 건물의 옥내 배선 작업시 가장 많이 활용되며, 대체적으로 흑색, 적색, 청색, 녹색, 흰색, 노랑색 전선이 많이 활용됩니다.
케이블 전선 HIV IV 케이블 전선 연동선 단선 연선 1.5SQ /2.5SQ /4SQ /6SQ은 흑색, 백색, 적색, 녹색, 황색, 청색으로 되어있습니다.
SQ표기는 무슨 뜻일까요?
SQ는 전선의 단면적 굵기를 나타내는 것으로 외부 피복 속에 도체라고 하는 구리의 단면적 굵기입니다.
SQ 규격에 따라서 허용 전류가 달라지며 사용 전력량보다 여유 있는 규격의 전선을 선택해야 합니다
SQ의 단위가 커질수록 굵기가 굵어진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전선의 굵기 결정 3요소는 1.허용전류 2.전압강하 3.기계적강도 등이 잇습니다.
허용전류는 전선에서 안전하게 흘릴 수 있는 전류의 한도를 말하며, 도체의 종류나 직경과 절연피막의 재질에 따라 달라질수 있으며 허용전류의 한도를 넘어 흘렀을 경우 온도 상승에 의한 강도나 절연의 탄화를 초래합니다.
전압강하는 전류가 흐르는 회로의 모든 부분에서 발생하는데 전류의 세기가 같을 경우, 저항이 크면 클수록 전압 강하는 커지므로 저항과 전류의 곱을 의미합니다.
전기기기가 기계력을 얼마나 견딜 수 있는 가를 전류의 크기로 나타낸 것을 기계적 강도 라고 합니다.
얇은 전선을 선호한다고 해서 임의대로 전선의 굵기를 얇게 선정해버리면 사용하는 전력량을 버티지 못하고 전기사고가 발생할 수 있으니, 정격에 맞는 전선 굵기를 체크하여 안전하게 구매하시길 바랍니다.
반응형